출처 : [Kulp et al] Managed Futures and Long Volatility 1.요약 정리 [ Introduction and background ] Fung and Hsieh는 추세 추종 전략을 복제하기 위해 lookback straddle을 사용한다. 이와 달리 이 논문에서는 변동성 익스포저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ATM(at the money) straddle을 이용한다. 이런 standard option straddle을 사용함과 동시에 동적으로 방법론을 업데이트하고 만기 rollover rule을 적용함으로써 lookback straddle이 만기 동안 추세 1개만을 보여준다는 한계에서 벗어나 다양한 추세를 포착할수 있게끔 한다. 또한 lookback straddle에 비교했을 ..
출처 :[Fung & Hsieh] The Risk in Hedge Fund Strategies - Theory and Evidence from Trend Followers 1.요약 정리 이 논문은 '추세 추종 전략(trend following)' 을 모델링함으로써 헤지펀드의 리스크를 이해하기 위한 일반적 방법론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표준화된 자산 벤치마크를 사용하는 선형-팩터 모델(linear factor model)로 헤지펀드를 해석했을 때는 헤지펀드의 비선형적인 수익률의 특징을 설명 못하는 문제점이 있기에, 헤지펀드의 위험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타일팩터와 헤지펀드 시장 간의 비선형적 관계를 모델링해야한다. 추세 추종 전략(Trend-following)의 특징을 먼저 이해해보자. 추세 추종 전..
출처 : [Cruset] Analysis of Trend Following Systems 1.요약 정리 [ Trend Follwing Systems ] 오늘날 많은 헤지 펀드들 사이에서 추세 추종 시스템이 가장 유명하다. 추세 추종 시스템(Trend Follwing Systems)이란 장기적인 추세를 타지만 자주 거래하지 않는 시스템이다. 이런 추세 추종 시스템은 가격 변동을 측정하여 주 추세를 찾아내고, 수익이 지속되는 추세에서는 머물고, 수익이 떨어지는 stop loss 지점에서는 빠져나가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때 money management(포지션 사이즈)는 수용할 수 있는 최대의 리스크를 말한다. ) 다양한 추세 추종 시스템들은 entry, exit 수준을 결정하는 방식과 추세를 감지하는 시간..
출처 : [Mebane T. Faber] A Quantitative Approach to Tactical Asset Allocation 1.요약 정리 [ Investing in risky assets & The current challenge] 최근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이 동시에 크게 하락하면서 분산효과(diversification)의 기존의 benefit이 사라졌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통화 평가절하나 대규모 rallies, 약세시장 등 어떠한 투자 환경에서도 투자를 할 수 있는 계획과 process가 필요해진 시점이다. 즉 분산효과(diversification), 다양한 asset 을 포트폴리오(이하 P/F)에 편입하는 효과만으로는 수익률을 높이기도 risk를 줄이기도 쉽지 않다. 앞으로 우리는 기존..
출처 : [S&P Global] The Story of Factor-Based Investing 1.요약 정리 [ 1. Introduction ] 수년 동안, 포트폴리오(이하 P/F)는 시가 총액 지수 펀드나 액티브 펀드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더보기 시가 총액 지수 펀드 : 단순하고 투명하고 비용 효율적인 방식의 시장 포트폴리오액티브 펀드 : 더 복잡하고 수수료가 높더라도 수익률을 높이는 포트폴리오 최근 기관 투자자들은 Factor-based investing이라는 새로운 포트폴리오 구축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더보기 Factor-based investing의 특징 : 1) 마켓 베타 + 타겟팅하는 리스크 팩터 2) 투명하고 체계적이며 규칙 기반의 방식 &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 3) 즉 passiv..
1. 요약 정리 [ Ⅰ. Factor 는 무엇인가? ] [ Factor의 기원 ] 어떤 요인이 주식의 수익률을 만들어내는지는 현대 재무학에 있어 중요하다. 자본 자산 가격 모형(이하 CAPM)에서는 이러한 요인들: 체계적 요인과 비체계적요인 2가지로 나누었다. 체계적 요인(β : 베타) 이란 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투자 위험으로 시장 변화에 대한 민감도라고 할 수 있다. 체계적 위험은 분산될 수 없으며 투자자는 이 리스크를 감내하는 것으로 수익률을 보상받는다. 즉 주식의 기대 수익률은 시장에 대한 베타 함수로서 생각할 수 있다. 이후 자산의 기대 수익률을 다양한 거시경제 factor 또는 이론적 시장 지수의 함수로서 정의한 차익거래 가격 결정모형(이하 APT)가 출범했고, 팩터가 유명..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